난 디자이너도 아닌데 예쁜 그림과 예쁜 글꼴을 참 좋아한다.
한 때 홈페이지 꾸미기에 푹 빠진 적도 있어서, 약간이나마 예쁜 글꼴들을 모아두었더랬다. 한글 글꼴이야 유료가 워낙 많다보니 구하기 힘들지만, 영문 글꼴들은 여러 곳에 널려 있어 쓰기 편하다.
하지만 난 아무래도 영문보다는 중문을 많이 쓴다. 더구나 우리가 흔히 쓰는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중문 폰트는 워낙 보기 싫은 모양이라서 예전부터 글꼴 찾으러 많이 돌아다녔다. 중국이야 워낙 불법이 판치는 곳이라, 이 글꼴들이 유료인지 무료인지는 잘 모르겠지만, 개인적으로 중국 소설 읽을 때 예쁘게 보려고 사용하고 있다.
말했다시피 영문 글꼴이야 웹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데, 중문 글꼴은 국내 웹에서 쉽게 찾을 수가 없다. 때문에 소개나 해볼까 해서 몇 가지 올려본다(두 개 정도는 파일도~). 좋아라하는 형가의 <역수가>를 써봤는데, 생각나는 대로 쳐서 틀렸을지도 모르겠다.
요즘 한글 글꼴 중에 예능 프로그램 자막에 잘 쓰이는 윤디자인의 고암새김체가 참 이쁘더라. 하지만 유료 글꼴이라 보기만 할 뿐^^; 사실 이건 문장으로 쓰기엔 다소 부담스럽다.
![](http://yoonfont.co.kr/images2/fontimages/goam_haeM_dsc.gif)
2010년 한글날을 맞아 네이버에서 무료 배포한 나눔 손글씨도 충분히 예쁘니 이걸로 만족!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150C0F4CD2649C08)
한 때 홈페이지 꾸미기에 푹 빠진 적도 있어서, 약간이나마 예쁜 글꼴들을 모아두었더랬다. 한글 글꼴이야 유료가 워낙 많다보니 구하기 힘들지만, 영문 글꼴들은 여러 곳에 널려 있어 쓰기 편하다.
하지만 난 아무래도 영문보다는 중문을 많이 쓴다. 더구나 우리가 흔히 쓰는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중문 폰트는 워낙 보기 싫은 모양이라서 예전부터 글꼴 찾으러 많이 돌아다녔다. 중국이야 워낙 불법이 판치는 곳이라, 이 글꼴들이 유료인지 무료인지는 잘 모르겠지만, 개인적으로 중국 소설 읽을 때 예쁘게 보려고 사용하고 있다.
말했다시피 영문 글꼴이야 웹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데, 중문 글꼴은 국내 웹에서 쉽게 찾을 수가 없다. 때문에 소개나 해볼까 해서 몇 가지 올려본다(두 개 정도는 파일도~). 좋아라하는 형가의 <역수가>를 써봤는데, 생각나는 대로 쳐서 틀렸을지도 모르겠다.
윈도우 제공 폰트, Simsun
經典角篆(번체) |
經典中變(번체) |
經典隷變(간체) | 方正流行(간체) |
方正鐵筋隷書(번체) |
葉根友仿版(간체) -유덕화체 |
漢儀Nangong(간체) | 漢儀凌波(번체) |
漢儀黛玉(간체) | 漢儀Mengfu(간체) |
漢儀白棋(간체) | 漢儀柏靑(번체) |
漢儀粗篆(번체) | 漢儀靑雲(간체) |
華康流葉(번체) | 華康流風(번체) |
華康園綠(번체) |
華康采風(번체) |
요즘 한글 글꼴 중에 예능 프로그램 자막에 잘 쓰이는 윤디자인의 고암새김체가 참 이쁘더라. 하지만 유료 글꼴이라 보기만 할 뿐^^; 사실 이건 문장으로 쓰기엔 다소 부담스럽다.
![](http://yoonfont.co.kr/images2/fontimages/goam_haeM_dsc.gif)
2010년 한글날을 맞아 네이버에서 무료 배포한 나눔 손글씨도 충분히 예쁘니 이걸로 만족!
댓글